-
배관의 유지관리에 있어 가장 중요한 사항은 관이음쇠 등 결합부분의 누수방지와 밸브정리다.관이음쇠는 나사식, 플랜지식, 유니온식, 용접식 등의 결합방식이 있는데, 배관 결합 접속부분의 누수여부를 일상적으로 점검해 수리하고, 노후화된 배관의 이음쇠는 교체, 보수해야 한다.특히 플랜지식은 상대 플랜지 사이에 가스켓을 끼운 후 볼트와 너트를 조여서 접속하는 관의 결합방식으로, 배관 관경 65mm 이상에 주로 사용되며, 배관과 관의 접속, 배관과 기기의 접속에 사용된다. 이를 점검할 때에는 플랜지 접속부분의 누수여부를 확인하고, 누수가 발생
유지관리
안광훈 기자
2022.07.04 06:00
-
냉난방 배관의 기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일상적인 관리를 통해 사용기기의 원활한 운전과 내용연수 연장을 위한 계획성 있는 유지관리 점검이 필요하다.이를 위해 기계설비유지관리자는 일상점검, 정기점검, 수선에 관한 사항 점검 등에 대한 계획을 수립해야 한다. 일상적으로는 기기의 운전과 청소, 소모품 교환, 배관상태 점검과 보수 등이 계획에 포함돼야 하며, 건물의 기능이 충분히 발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연간계획, 월간계획에 따라 효율적으로 업무를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법규에서 의무화시킨 점검활동은 누락되지 않도록 계획에
유지관리
안광훈 기자
2022.06.23 09:44
-
-
냉난방 열원설비의 배관에 사용되는 밸브는 유체의 유량조절, 흐름 단속, 방향 전환, 압력 등을 조절하는 데 필요한 장치다.그 기능에 따라 정지밸브와 조정밸브로 나눠지는데, 정지밸브에는 게이트밸브, 글로브밸브, 앵글밸브, 체크밸브, 볼밸브, 버터플라이밸브 등이 있으며, 조정밸브에는 감압밸브, 안전밸브, 전자밸브, 전동밸브, 에어벤트밸브, 정유량조절밸브, 차압유량조절밸브, 온도조절밸브 등이 있다.게이트밸브는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하는 밸브로, 유체의 흐름을 열고 닫는 대표적인 밸브다. 일반적으로 완전히 열거나 닫은 상태로 사용되며,
유지관리
안광훈 기자
2022.05.30 06:00
-
냉난방 열원설비의 배관에 사용되는 재료는 주로 강관이 사용된다. 강관은 주철관 등에 비해 가볍고, 인장강도가 크며 관의 접합방법 또한 용접이나 무용접 접합 등으로 다양하기 때문이다.용도별로는 유체수송용 배관과 열전달용, 구조용 등으로 나눠지며, 재질별로는 탄소강, 저합금강, 스테인리스강, 니켈합금 등으로 구분된다.우선 배관용 탄소용 강관(KS D3507)은 사용압력이 비교적 낮은 증기나 물, 기름, 가스, 공기 등의 배관재로 사용된다. 특히 탄소강은 열간압연강판으로 제조된 강관으로, 강관의 표면에 도장을 하지 않은 흑관과 아연을 강
유지관리
안광훈 기자
2022.05.23 06:00
-
-
판형 열교환기란 고온유체와 저온유체가 열판을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열을 전달하는 장치를 뜻한다. 판형 열교환기의 구조는 플레이트 팩을 프레임에 볼트로 고정하는 모양으로 돼 있다.원리를 살펴보면, 상단으로 뜨거운 물이 투입돼 열교환기를 거친 열을 빼앗긴 후 하단으로 돌아나가고, 하단으로 투입된 찬물은 열교환기를 거친 후 열을 얻어 상단으로 나간다. 이때 열판과 열판 사이에는 뜨거운 물과 찬물이 교대로 흘러 열전달을 가능하게 한다.열교환기는 전열판과 가스켓, 프레임으로 구성돼 있으며, 전열판은 스테인레스 강관 재질의 박판에 특정한 형
유지관리
안광훈 기자
2022.05.09 06:00
-
-
펌프는 동작원리에 따라 여러 가지로 분류된다. 이중 냉수펌프나 온수펌프, 냉각수펌프 등에 많이 사용되는 원심펌프는 물레바퀴 모양의 임펠러의 고속회전에 의해 발생되는 원심력을 에너지로 해 물에 속도를 가하고, 이것이 압력으로 변환돼 물을 내보는 방식의 펌프다.원심펌프는 펌프, 임펠러, 안내날개, 커플링, 축봉장치 등으로 구성돼 있다. 각각의 기능을 살펴보면, 임펠러는 펌프 내부에 여러 개의 날개로 돼 있고, 원심력에 의해 압력을 발생시킨다.또 안내날개는 펌프 내부 임펠러 바깥 주위에 고정돼 있어, 임펠러로부터 빠른 속도로 배출되는 물
유지관리
안광훈 기자
2022.05.02 06:00
-
냉각탑은 수냉식 냉동기의 응축기에서 냉매가스를 응축시키고, 열을 흡수해 온도가 높아진 냉각수를 공기와 접촉시켜, 그 일부를 증발시킨 기화열로 냉각수의 온도를 내려서 낵각수를 버리지 않고 반복해 순환해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를 말한다.냉각탑은 충진재, 송풍기, 비산방지판, 분사노즐, 수조, 루버, 케이싱 등으로 구성된다.충진재는 냉각탑의 가장 중요한 부분으로, 공기와 물의 열교환이 일어나는 곳이다. 주로 PVC 필름형이 사용되며, 냉각수가 표면에 얇은 막을 형성하며 흘러내리는 동안 공기와 접촉해 열교환을 하게 된다.송풍기는 냉각
유지관리
김주영 기자
2022.04.25 06:00
-
-
대표적인 열원설비인 보일러는 본체와 연소장치를 비롯해 계측기, 폐열회수장치, 안전장치, 분출장치, 급수장치, 통풍장치, 송기장치 등 보일러를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운전하기 위한 부속장치로 구성돼 있다.보일러의 본체는 연소실에서 발생한 연료의 연소열을 이용해 증기 또는 온수를 발생시키는 부분을 말한다. 또 연소장치는 본체에 사용되는 연료를 연소시키는 장치로, 연료가 연소되는 연소실과 스토커, 버너, 연도, 연돌 등으로 구성된다. 기계설비유지관리자는 보일러를 점검하고 관리하는 업무를 수행해야 한다.우선 보일러의 구성요소와 관련해 보일러의
유지관리
안광훈 기자
2022.04.11 06:00
-
-
기계설비법에서는 일정 규모 이상에 설치된 기계설비의 관리주체는 기계설비유지관리자를 선임하고, 유지관리기준을 준수하도록 했다.기계설비유지관리자의 선임기준을 살펴보면, 연면적 6만㎡ 이상 용도별 건축물이나 3000세대 이상 공동주택의 관리주체는 특급 책임기계설비유지관리자 1명과 보조기계설비유지관리자 1명을 선임해야 한다.또 연면적 3만㎡ 이상 6만㎡미만 용도별 건축물과 2000세대 이상 3000세대 미만 공동주택의 관리주체는 고급 책임기계설비유지관리자 1명과 보조기계설비유지관리자 1명을 각각 선임하도록 했다.연면적 1만5000㎡이상 3
유지관리
안광훈 기자
2022.04.04 06:00
-
-
-
-
-
-